韓 수출 효자품 자동차, 美선 무역 적자 애물단지…트럼프, 통상 정책 손질 나설까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박제은 기자]
“현대·기아차도 일정 수준 경쟁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나쁘기만 한 상황은 아닙니다. 그러나 앞으로 더 많은 대응전략이 필요합니다.”
자동차 업계 전문가들은 28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개최된 ‘미국 신정부 출범에 따른 자동차 통상정책 대응’ 포럼에서 기민한 대응책 마련 필요성에 하나같이 입을 모았다. 트럼프 2기 정권 출범을 50여일 앞둔 예측불허의 상황에서 자동차 산업의 활로 모색이 이뤄져애 한단 것이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가 개최한 이날 포럼은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과 송의달 서울시립대 초빙교수가 발표자로 나서, 미국 정책변화에 따른 우리 자동차업계의 대응 방향을 심도있게 제시했다.
우선 송의달 서울시립대 초빙교수는 ‘트럼프 2기 내내 한국은 조준점이 될 것’이라며, 미국에 수출되는 우리 자동차에 강한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관세 장벽으로 대표되는 보호무역주의 기조 때문이다. 또한 2년 뒤 치러질 중간선거를 노린 트럼프가 단기간에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자 무역 적자 해소를 위한 전략을 강화할 가능성을 관측했다.
송 교수는 "중국의 독주를 견제할 수 있는 외교 전략을 미국에게 선제시해야 한다"며 "예외 조항을 따내기 위해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도 제언했다.
뒤이어 연단에 오른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신정부 관련 자동차 통상정책 변화와 대응’에 관한 주제 발표에 나섰다.
조 연구원은 "미국이 연간 차량 판매량 1600만~1800만 대 중 절반인 800만 대를 수입해 무역 적자를 줄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자동차 산업과 관련 분야 비중은 미국 GDP의 5% 가량 차지한다. 트럼프가 내수 활성화를 위해 향후 공격적인 전략에 나설 수 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트럼프 당선인이 지난 25일 관세 부가율을 25% 높이겠다고 선언한 데 대해 “수입 의존도가 크고 무역 적자폭을 지속적으로 좁히지 못한 자동차산업에서 앞으로도 관세 부과나 FTA 제재 등 제약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기차 사업과 관련해서도 "전기차 전환으로 이끄는 경향은 줄더라도, 법 폐지를 확언하기는 어렵다"고 부연했다. 내수 공급량만으론 수입 분을 충당할 여력이 부족할 뿐더러 단기간에 실현하기 불가능해서다.
발표에서는 현지 생산 증대와 틈새시장 공략이 대응책으로 제시됐다. 조지아 공장 가동 전인 현대·기아차가 앞으로 현지 생산량을 늘리면 리스크가 줄어들 수 있단 판단이다.
틈새시장이란 완성차 위주인 대미 수출구조를 개편하는 것을 뜻한다. 기존에 중국 비중이 컸던 부품과 배터리 쪽을 공략하는 방법이다. 전기차 중시 기조가 줄어들 경우에도 현지에 가솔린 차량 공장을 재가동할 수 있는 기업들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을 거란 셈법을 내놨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도 기업들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 협력하겠단 뜻을 내비쳤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회장은 “신통상 보호주의 정책이 주는 어려움은 최소화하고, 새로운 기회요인을 발견해 나가겠다”며 “현지화 능력을 강화하고 수출 시장을 넓힐 수 있도록 정부와 협력하겠다”고 피력했다.
좌우명 : 오늘 최선을 다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