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새마을금고도 증가세…저축銀과 대조적
상호금융 연체율 2.97%…전년보다 1.45%p 상승
부실채권 매각·경공매 활성화…“건전성관리 총력”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우한나 기자]
상호금융업계의 건전성 우려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2금융권으로 자금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연체율이 계속 오르고 있어서다.
2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올 4월 기준 상호금융권(농협·수협·축협 등)의 수신잔액은 494조3154억원으로 전년동월(473조719억원)보다 21조2435억원이 늘었다. 특히 2022년 12월 453조3699억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늘고 있다. 또 신협의 올 4월 수신잔액은 137조4246억원으로 3월(136조7541억원) 대비 6705억원 증가했고 새마을금고도 전달(259조2135억원)보다 8434억원 오른 260조569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저축은행 수신잔액이 지난해 10월이후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저축은행의 수신잔액은 103조2831억원으로 작년 10월 116조7344억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줄어들었다.
상호금융이나 저축은행의 예적금을 이용하는 이유는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2금융권은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의 예적금 상품을 취급해 고객들을 유치한다. 올 4월 시중은행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금리는 연 3.53%다. 이에비해 비은행금융기관의 예금금리(1년만기 정기예금 기준)는 △저축은행 3.75% △신협 3.82% △상호금융 3.67% △새마을금고 3.86%에 달했다.
저축은행의 수신잔액이 감소한데는 여신(대출) 축소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저축은행은 여·수신 규모는 줄이고 대손충당금은 늘리는 형태로 건전성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로 저축은행 여신잔액은 올 4월 기준 100조원대까지 떨어져 100조745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월 115조6003억원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대출 규모가 줄어들면서 수신도 같이 줄어든 모습이다.
반면 저축은행을 제외한 2금융권의 수신잔액은 갈수록 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수신잔액이 증가하면 그만큼 여신을 통한 이자이익을 늘려야 하는데 최근 상호금융권의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어 건전성관리에 주력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관련 금융위원회는 지난 5월20일 제1차 상호금융정책협의회를 열고 상호금융업권의 건전성관리 및 리스크요인 점검과 불합리한 규제차익 개선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당시 금융당국과 상호금융업계는 최근 상호금융업권 건전성 지표가 악화되고 있는 만큼 배당 자제 및 이익금 내부 유보 등 다각적인 대응여력 확보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그동안 상호금융기관은 조합원 중심의 지역‧서민금융기관이라는 특성을 감안해 다른 금융기관보다 규제가 느슨했다. 하지만 상업 금융기관 수준이상의 외형을 가진 조합이 늘어나고 부동산PF, 공동대출 등 새로운 영업행태가 확산됨에 따라 외형과 실질에 걸맞는 건전성관리 및 영업행위, 지배구조 등 제도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실제로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말 상호금융 연체율은 2.97%로 2022년말(1.52%) 대비 1.45%p 상승했다. 구체적으로 △신협2.47%→3.63% △농협1.18%→2.65% △수협 2.00%→4.14% △산림조합 1.77%→3.41% 등 연체율이 모두 올랐다. 아울러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전년 말(1.84%)보다 1.57%p 오른 3.41%를 기록했다. 특히 신협은 지난달 연체율이 6%대까지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말 새마을금고 연체율도 5.07%로 2022년말 대비 1.48%p 상승한바 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7.74%, 가계대출 연체율은 1.52%로 전년말대비 각각 2.13%p, 0.37%p 올랐다. 특히 올해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7%대까지 올랐을 것이란 추산도 나온다.
이에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연체율이 7%대였던 적은 있지만 일(日)단위로 계속 바뀌다 보니 아직 정확한 수치를 알긴 어렵다”며 “또한 결산기준이 되면 연체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건전성관리와 관련해선 부실채권 매각과 경공매 활성화정책을 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캠코를 비롯한 매각처를 통해 부실채권을 매각하고 있다”며 “금융사가 갖고 있는 채권 중 연체가 일정기간 지속되거나 금융당국이 정해놓은 요건에 해당하면 의무적으로 경매시장에 매각하는 방안에 따라 경공매를 활성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과정에서 실제로 받아야 할 금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받게 되면 일부 손실은 발생할 수 있지만 건전성 측면에서 연체율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고 덧붙였다.
신협 관계자도 “조합 부실채권을 자동으로 넘겨 관리할 수 있게끔 지표관리를 시스템화하고 있다”며 “부실채권을 모아 한번에 매각하는 방안도 고민중인데 아직 논의 단계라 구체적 언급은 어렵지만 내부적으로 TF도 구성해 연체율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좌우명 : 아는 것이 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