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50%-韓 2.25%, 금리차 역전
일각선 외국인 자본 유출 우려 제기
추경호,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주재
대내외 리스크 요인 모니터링 강화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고수현 기자]
미(美)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이하 FOMC)가 2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결정했다. 이는 지난 6월에 이어 두번째다. 2개월 연속 연준 기준금리가 0.75%포인트씩 오르며 한국은행(이하 한은) 기준금리보다 높은 한미 금리역전이 발생했다.
28일 기준 미 기준금리는 2.50%(상단 기준), 한은의 기준금리는 2.25%로, 미 기준금리가 한국의 기준금리보다 0.25%포인트 높아졌다.
이에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7시30분 서울 은행회관에서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한은 이창용 총재, 금융위원회 김주현 위원장, 금융감독원 이복현 원장과 함께 한미 금리역전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일각에서는 한미 금리역전 발생에 따라 추가 빅스텝 단행 등 한은의 기준금리 정책 스탠스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지만, 현재로선 가능성이 낮다.
실제로 이날 아침 열린 회의에서 추 부총리는 한미 금리역전이 곧바로 외국인 자본유출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추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모두 발언을 통해 “과거 3차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기에 한미간 정책금리는 모두 역전 현상이 있었지만, 미국 금리인상 기간 전체로 볼 때 국내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오히려 순유입을 유지한 바 있다”면서 “우리 경제 펀더멘털과 글로벌 이벤트에 대한 적절한 대응 등이 자본유출입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다만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맞춰 대내외 리스크 요인을 철저하게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지난 13일 사상 첫 빅스텝 단행 이후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한은 이창용 총재 발언과 유사하다.
당시 이 총재는 “(한미간)금리역전 자체가 문제가 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금리격차보다 그로 인해 생기는 시장의 영향, 외환시장이라든지 자본유출이라든지 그런 것을 보고 판단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미 금리역전이 0.25%포인트, 0.50%포인트, 혹 1.0%포인트씩 벌어지더라도 몇 포인트 차이냐보다는 실제 격차에 따른 자본유출이 국내에만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전세계적으로 유출이 이뤄지는 등을 살펴봐야한다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빅스텝은 매우 이례적인 상황으로 앞으로의 기준금리 정책 방향에 대해 0.25%포인트씩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밝혔다.
추 부총리와 이 총재의 발언을 종합해보면, 한미 금리역전이 한은의 기준금리 정책 스탠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풀이된다. 전세계적 경기 불확실성이 커 빅스텝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지만 금리역전을 해소하기 위한 빅스텝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은의 사상 첫 빅스텝 단행도 한미간 금리역전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서가 아니라 고물가 고착화를 막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었기 때문이다.
한편 미 연준 제롬 파월 의장은 7월 FOMC 결정 이후 기자회견을 통해 9월 회의에서도 이례적인 큰 폭의 인상이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하고 회의마다 입수되는 데이터를 보고 결정하겠다”면서도 “9월 회의시 또 다른 이례적인 큰 인상이 적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 경기와 관련해 “경제가 6개월 또는 12개월 후에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 평소와 같이 자신 있게 말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지금은 정상시기가 아니며 향후 경로에 대해 훨씬 더 많은 불확실성이 있고 불확실성 수준도 상당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미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파월 의장은 “양호한 물가지표를 기대하지는 않았는데 예상보다 더 나빴다”면서도 “미국 경제가 지금 경기침체일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좌우명 : 기자가 똑똑해지면 사회는 더욱 풍요로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