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늘·시사ON·시사온= 정진호 기자]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YTN이 의뢰하고 <리얼미터>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일까지 수행해 4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문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40.4%를 기록했습니다. 역대 대통령 중 임기가 채 반 년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지지율 40%를 상회하는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유일합니다.
때문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권 재창출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이 흘러나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대통령의 인기가 높을수록 정권 재창출 가능성도 올라가는 게 당연하니까요. 하지만 한편에서는 문제가 그리 간단하지 않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문 대통령 지지율을 떠받치고 있는 ‘친문(親文)’ 지지층의 성향 탓입니다.
친문 지지층은 임기 내내 문 대통령의 ‘개혁 드라이브’를 가능케 한 든든한 지원군이었습니다. 그 어떤 상황에서도 문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놓지 않았고, 절대적인 신뢰를 보내면서 국정운영의 동력이 됐죠. 그러나 다소 교조적(敎條的)인 성향을 보이며 문 대통령에 대한 비판조차 허용하지 않아 우리 정치의 극단화를 유발했다는 평가도 받습니다.
여당 후보들의 고민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뉴시스>가 의뢰하고 <리얼미터>가 지난달 22~23일 수행해 26일 발표한 여론조사를 보면, ‘내년 3월 대선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기를 기대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5.6%가 ‘야권에 의한 정권교체’를, 38.5%가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헤럴드경제>가 의뢰하고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지난달 26~27일 실시해 29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 과반인 51.3%가 ‘정권 교체를 위해 야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41.3%였습니다. 현재 지형에서 여당 후보가 승리하기 위해서는 반문(反文) 유권자 일부를 끌어들여야 합니다.
그러나 그 방법이 마땅치 않습니다. 전통적으로 여당 후보가 ‘중도 확장’을 하는 방법은 현직 대통령과의 차별화를 시도하는 겁니다. 성공한 정책은 계승하되, 실패한 정책에 대해서는 변화를 약속해야 현 정부에 실망한 유권자들을 품을 수 있습니다. 정권 재창출에 성공한 노무현 전 대통령이나 박근혜 전 대통령 또한 이 공식을 지켰습니다.
하지만 조만간 선출될 여당 후보는 이 루트를 따르기가 쉽지 않습니다. 친문 지지층이 무려 40%에 달하는 데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지금의 친문 지지층은 ‘문재인 노선’에서 이탈하는 그 누구도 용인(容認)할 생각이 없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두 전직 대통령 사면 발언으로 지지율이 폭락한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례만 보더라도, 여당 후보가 함부로 중도 확장에 나설 수 있는 입장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40%만 보고 갈 수도 없습니다. 정권 교체론이 과반인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 계승’만 외치는 건 패배의 낭떠러지로 직행하는 꼴입니다. 결국 친문 지지층의 지지율을 그대로 흡수하면서 반문 유권자의 표를 얻을 수 있어야 정권 재창출이 가능하다는 의미인데, 그 어떤 때보다도 정치적 극단화가 심화된 현 시점에서 이 ‘줄타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문 대통령은 열성 친문 지지자들의 맹목적인 지지를 등에 업고 ‘역대 최고 지지율 대통령’으로 퇴임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그러나 그로 인해 여당 후보는 열성적 지지자와 열성적 비판자로 양극화된 정치 지형에서 양쪽의 표를 모두 얻어야 하는 ‘고난도 미션’을 수행해야 합니다. 과연 문 대통령의 ‘확실한 지지 기반’인 열성 친문 지지자들은 민주당의 정권 재창출에 도움이 될까요 걸림돌이 될까요.
* 본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http://www.nesdc.go.kr)를 참조하면 된다.
좌우명 : 인생 짧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