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 급증 따른 리스크 확대 우려
위험가중자산·고정이하여신비율↑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고수현 기자]
국내 최초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의 상장이 무기한 연기됐다. 외연 확장을 토대로 IPO(기업공개)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온 케이뱅크였지만, 증시 침체와 투자심리 냉각 등에 따른 몸값 하락이 부담이 됐던 것으로 풀이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IPO 철회를 공식화하면서 향후 투자심리 회복 등 대외여건이 개선되면 적기에 곧바로 재추진할 수 있도록 준비를 계속할 계획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도 “대내외 시장 상황을 고려해 IPO를 지속 준비, 적기에 재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케이뱅크가 IPO 철회라는 최후의 수단을 꺼낸 건 그만큼 시장상황이 좋지 못했다는 방증이다. 통상 IPO 철회 이력은 상장 시 초본 주가 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케이뱅크도 예비심사 통과 후 IPO 철회 가능성이 거론될 때마다 우회적으로 가능성을 부정해왔다. 특히 올해 최대 IPO 대어로 거론된 ‘마켓컬리’마저 철회를 할 당시에도 케이뱅크는 묵묵히 상장을 추진해온 바 있다.
그러나 케이뱅크 역시 투자심리 한파를 극복하지 못하고 최근 철회를 결정했다. 증권가에서는 올해 내 증시 등 투자심리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케이뱅크는 도박 대신 안정적으로 몸값을 받을 수 있는 선택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케이뱅크가 제값을 받기 위해서는 지속 성장을 이뤄야한다는 점이다. 앞서 케이뱅크가 예비심사를 통과할 당시 증권가에서는 케이뱅크의 IPO 상장 추진은 여신 규모를 늘리기 위한 선택이라고 봤다. IPO가 철회된 지금 시점에서도 이는 여전히 주요 과제로 남아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케이뱅크의 총수신은 13조 4909억 원인 반면, 총여신은 9조7783억 원으로, 격차는 3조 7126억 원이다. 2021년 말 기준 총수신(11조 3175억 원)과 총여신(7조 899억 원)과 비교하면 수신과 여신 규모 모두 늘었고, 자산 간 격차가 줄어들었다는 것 역시 긍정적이다.
다만, 앞으로도 은행의 주요 수익원인 여신 규모를 수신 성장세보다 높게 가져가야하는 케이뱅크의 입장에서 여신의 지속성장은 숙제인 셈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여신을 늘리는 건 리스크 우려를 키운다. 실제로 케이뱅크의 위험가중자산(RWA) 규모는 여신 성장과 함께 급격하게 늘어났다. 케이뱅크의 지난해 3분기 경영공시에 따르면 위험가중자산은 2021년 말 5조 7677억 원에서 2022년 9월 말 7조 6720억 원으로 급증했다. 위험가중자산의 급격한 증가는 은행 건전성 지표 중 하나인 자기자본비율(BIS비율) 하락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고정이하여신비율(NPL) 관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케이뱅크의 NPL은 2021년 말 0.54%에서 지난해 3분기 0.76%로 0.22%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2021년 3분기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이 지난해 3분기를 기점으로 다시 증가한 건 긍정적이다. 케이뱅크의 유동성 커버리지비율은 2021년 3분기 214.51%에서 2021년 말 182.62%, 2022년 1분기 173.23%, 2022년 2분기 168.29%로 지속 하락하다가 지난해 3분기 188.21%로 반등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케이뱅크가 IPO 시장에 재출사표를 던진다면, 시장은 케이뱅크의 향후 성장 가능성과 함께 여신 확에 따른 리스크 관리 능력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으로 전망된다.
케이뱅크가 주어진 시간 동안 여신 규모를 효과적으로 늘리면서 관련 리스크를 어떻게 대응해나갈지 지켜볼 대목이다.
좌우명 : 기자가 똑똑해지면 사회는 더욱 풍요로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