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 박근홍 기자)
'아버지의 제국'에서 '아들의 제국'으로 접어들고 있는 삼표그룹이 최근 수년 사이 잇따른 논란에 휩싸이면서 흔들리는 눈치다. 정도원 회장의 장남 정대현 부사장의 '트러블 메이커' 행보가 그룹 전반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 업계에서 제기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표는 현재 서울 송파 풍납동 일대 풍납토성 유적지 내 삼표산업의 레미콘공장 운영 강행을 위해 지자체 등과 법정공방을 벌이고 있다.
풍납토성은 백제가 기원전 18년부터 공주로 천도하기 전까지인 서기 400년대까지 도성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송파구청 측은 삼표공장 부지(풍납토성 서쪽 성벽터 추정)가 예전부터 문화재로 지정된 지역인 만큼 공장을 이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삼표는 풍납토성 복원이 시작된 2003년에는 공장을 이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돌연 이를 철회했다.
현재 삼표는 "학술적 연구나 역사적 고증이 없는 서쪽 성벽은 존재 사실도 없고 자연하천에 불과하다"며 "백제시대 강바닥, 유실된 성벽을 인위적으로 복원하는 건 과잉복원"이라고 맞서고 있다.
이처럼 삼표가 갑자기 입장을 선회한 배경에는 정대현 부사장의 의중이 깔려있다는 게 지배적인 견해다. 정도원 체제에서 정대현 체제로의 성공적인 경영권 승계를 위해서는 풍납토성 유적지 내 레미콘공장 운영이 필수조건이기 때문이다.
현대제철→네비엔·삼표기초소재→삼표산업→현대차그룹
정대현 부사장은 그룹 지주사인 삼표 지분율이 14%에 불과하다. 지분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아버지 정도원 회장(82%)의 지분을 가져와야 하는데, 앞으로 증여세 등에 투입될 막대한 승계자금을 아직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그간 정대현 부사장은 자신이 최대주주(지분 78%)로 있는 삼표기초소재(구 신대원)와 네비엔(구 삼표건설)을 이용해 그룹 내 영향력을 확대해 왔다.
실제로 삼표기초소재는 지난해 전체 매출 2380억 원 가운데 1274억 원 가량을 삼표그룹 계열사로부터 얻었다. 같은 기간 네비엔도 그룹 계열사와의 내부거래로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획득했다. 일감 몰아주기가 자행된 것이다.
업계에서는 향후 삼표 오너일가가 네비엔, 삼표기초소재 등을 지주사와 합병시키거나, 이들 계열사의 일부 지분을 매각해 정대현 부사장의 승계자금을 마련할 것이라는 전망이 주를 이룬다.
이 같은 시나리오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당분간은 삼표기초소재와 네비엔의 안정적인 성장이 필요하다. 이번 풍납토성 논란에서 정대현 부사장과 네비엔, 삼표기초소재가 언급되는 이유다.
네비엔, 삼표기초소재는 부산물처리 전문기업으로 삼표그룹과 사돈지간인 현대자동차그룹의 주력 계열사 현대제철로부터 고철 등 부산물을 받아 가공, 이를 삼표산업에 되파는 형식으로 수익을 올린다.
삼표산업으로 들어간 부산물은 레미콘으로 재처리, 다시 현대차그룹으로 흘러간다. 최근 현대차그룹이 서울 삼성동 일원에 신사옥을 건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제철→네비엔·삼표기초소재→삼표산업→현대차그룹'으로 이어지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번 풍납토성 논란이 불거진 서울 송파 풍납동 레미콘공장과 현대차그룹의 신사옥 부지는 밀접한 거리에 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삼표 측이 현대차그룹에 보다 수월하게 자재를 공급하기 위해서 레미콘공장 운영을 강행하고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이에 대해 삼표 측은 "레미콘공장 운영과 현대차그룹 사옥 문제는 무관하다"고 해명하고 있으나, 앞선 정대현 부사장의 경영권 승계 시나리오를 감안하면 두 사안이 직간접적으로 연결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결국, 정대현 부사장의 경영권 승계작업으로 국가 사적(史蹟)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야기된 것으로 보인다.
철피아 논란, 자회사 헐값 매각 의혹…트러블 메이커 삼표 오너家
문제는 이번 논란 이전에도 정대현 부사장 등 삼표그룹 오너일가의 구설수가 잇따라 불거졌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2014년 '철피아' 논란이다. 검찰은 삼표E&C(삼표이앤씨, 현 삼표레일웨이)가 당시 새누리당 조현룡 의원 등에게 억대의 금품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수사했다.
이 과정에서 검찰은 정도원 회장, 정대현 부사장이 궤도 시설, 부품 등을 납품하면서 회사 자금 중 일부를 횡령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정황을 포착, 두 사람에게 출국금지 조치를 내리고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2015년에는 정대현 부사장이 자회사 헐값 매각 논란의 중심에 섰다. 삼표가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삼표기초소재를 헐값에 신대원에 넘겼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당시 삼표그룹은 약 60억 원의 손실을 입으면서도 삼표기초소재 일부 지분을 신대원에 매각했다. 신대원은 정대현 부사장이 최대주주로 있는 회사였고, 현재 삼표기초소재의 최대주주 역시 정대현 부사장이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정대현 부사장을 비롯한 삼표그룹 오너가의 연이은 구설수 행보가 삼표그룹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삼표그룹과 밀접한 업계의 한 핵심 관계자는 2일 <시사오늘>과의 통화에서 "이번 풍납토성 논란은 따지고 보면 정대현 부사장의 경영권 승계작업에서 불거진 일이라고 본다. 그야말로 '트러블 메이커'"라며 "지속성장 가능성이 퇴보하는 게 아닌지 의문이다. 사내에서도 오너일가의 경영능력에 물음표를 던지는 시선이 여럿 있는 것으로 안다"고 지적했다.
좌우명 : 隨緣無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