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5G 기술로 LTE比 속도 10배↑…로봇·자율주행 등 신사업 겨냥
네이버, 하이브·DC코믹스로 오리지널 콘텐츠 확장…글로벌 IP 벨류체인
SKT, ‘TMAP 대중교통’ 앱 통해 지하철 2호선 칸별 실시간 혼잡도 제공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 한설희 기자]
KT, AI 원팀에서 ‘초거대 AI’ 개발 착수…내년 상반기 상용화
KT는 AI원팀 참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KAIST △한양대와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하는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각 기관의 자연어 처리 분야 연구진으로 구성됐으며, KT의 사업 경험과 풍부한 데이터를 활용해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AI 원팀은 초거대 AI 모델 확보를 핵심 의제로 설정하고 약 6개월 이상 실무 논의와 협력을 지속해 왔다. 4개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기관별 역할을 정의하고 본격적인 프로젝트 수행에 나설 계획이다.
KT는 다른 참여기관들과 협력해 △대규모 GPU 인프라 구축 △데이터 수집/분석 △모델 학습 △응용태스크 적용 등 R&D와 상용화 관련 업무를 총괄 수행한다.
KAIST는 머신러닝 알고리즘 최적화와 어플리케이션 파트를 담당하고, 한양대는 △데이터 정제/필터링 알고리즘 개발 △분산/병렬 알고리즘 △모델 최적화 분야에서 협업할 계획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형 모델학습과 모델개발 분야에 참여한다.
AI 원팀은 올해 말까지 1차로 초거대 AI의 학습을 완료하고, 내년 상반기 내 초거대 AI모델을 상용화할 전망이다. 대규모 AI 연산 인프라도 구축하고, 향후 2000억 파라미터(매개변수) 이상의 모델까지 가능하도록 인프라 규모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AI 원팀은 또한 △학습데이터 필터링 강화 △데이터 간 균형 조정 △유해 콘텐츠(Toxic Content) 필터링 기술 등 다양한 딥러닝 기반 탐지 기술을 통해 AI 윤리 이슈도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다.
이번에 개발되는 초거대 언어모델은 즉시 상용화 가능한 ‘과제 지향적’ 형태다. 초거대 언어모델을 통해 향상된 △STT(음성인식) △TTS(음성합성) △TA(텍스트 분석) △대화 등은 KT의 기가지니와 AICC 서비스 고도화에 먼저 활용되고, 향후 △제조 △금융 △물류 △유통 등 AI 원팀 참여기업들의 다양한 사업 분야에 확대 적용될 전망이다.
현재 AI 원팀에는 앞선 4개 기관을 비롯해 △현대중공업그룹 △LG전자 △LG유플러스 △한국투자증권 △동원그룹 △우리은행 등 10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LG유플러스, 5G 기반 ‘프리미엄 M2M’ 서비스 출시
LG유플러스는 5G를 기반으로 초고속·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프리미엄 M2M’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현재 △무선결제 △차량 관제 △실시간 영상전송 △디지털 광고판 등에 주로 활용되는 M2M(사물지능통신)는 LTE 망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5G와 LTE CA(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결합한 프리미엄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5G 기반 M2M 서비스(라우터)는 이론상 최대 1.3Gbps의 속도를 제공한다. 기존 LTE M2M 대비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배 빠르고, 1대의 단말기에 10명 이상 연결해 5G를 사용할 수 있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와 짧은 지연 시간, 멀티 접속 등을 바탕으로 메타버스·로봇·자율주행 등 신산업 분야는 물론,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 사업장에서 유선인터넷 대신 활용될 수 있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입장이다.
LG유플러스의 M2M 서비스는 3개 주파수를 연결해 대역폭을 넓혀 속도가 빨라졌다.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LTE △LTE CA △5G 등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신규 서비스 이용료는 5G와 LTE CA 상관없이 데이터 제공량 기준으로 최소 월 3만1900원(20G)부터 최대 월 22만 원(500G)까지다. 타 통신사 달리 제공량 내 속도 제한이 없으며, 기본 제공 데이터가 소진되면 1~10Mbps 속도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서비스 장애 발생 시 빠른 조치가 어렵다는 이용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원격으로 단말과 회선을 모니터링하는 ‘원격 상태관리 플랫폼’도 제공한다. 보안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암호화 통신 등을 지원하는 ‘VPN’도 부가서비스 형태로 출시됐다.
네이버웹툰 글로벌 플랫폼에 하이브·DC코믹스 합류
네이버는 글로벌 스토리테크 플랫폼 ‘네이버웹툰’에 하이브·DC코믹스 등이 합류하면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IP 벨류체인 생태계가 완성됐다고 18일 밝혔다.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는 이날 온라인 밋업 행사를 통해 회사 성과와 방향성을 공개했다. 네이버는 누구나 참여 가능한 ‘아마추어 콘텐츠 모델’과 정식 연재를 통해 슈퍼IP로 성장하는 ‘오리지널 콘텐츠 모델’을 모두 구현함으로써, 콘텐츠 플랫폼의 핵심인 콘텐츠와 팬덤을 확보했다. 네이버웹툰은 현재 1억 6700만 명의 월간 사용자와 600만 명의 창작자가 활동하는 글로벌 1위 플랫폼이다.
김준구 대표에 따르면 네이버웹툰 개인 작가 최대 수익은 지난해 기준 약 124억 원으로, 전체 평균 수익은 약 2억 8000만 원이다. 1년 내 연재를 시작한 신진 작가의 연간 환산 수익 평균은 1억 5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네이버웹툰의 PPS(수익환산) 프로그램 전체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1조 700억 원에 달한다.
네이버의 스토리테크 플랫폼은 하나의 IP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콘텐츠 제작을 통해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있다. 또한 글로벌 팬덤을 가진 엔터테인먼트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외부의 슈퍼 IP를 웹툰이나 웹소설 오리지널 콘텐츠로 제작하는 ‘슈퍼캐스팅’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이번에 공개된 슈퍼캐스팅의 첫 번째 협업 파트너는 하이브(HYBE)와 DC코믹스다. 네이버웹툰은 향후 방탄소년단(BTS) 등 아티스트 관련 웹툰·웹소설을 제작하거나, DC코믹스 세계관을 공유한 오리지널 웹툰을 제공할 예정이다.
SK텔레콤, 서울교통공사·티맵모빌리티와 지하철 혼잡도 실시간 안내
SK텔레콤은 서울교통공사·티맵모빌리티와 ‘실시간 서울지하철 칸별 혼잡도 안내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서울지하철 승객들은 티맵모빌리티의 ‘TMAP 대중교통’ 앱과 서울교통공사의 ‘또타지하철’ 앱을 통해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서울교통공사의 ‘실시간 열차 위치’ △SK텔레콤의 T-WiFi 정보 △티맵 모빌리티의 역정보 등 데이터가 종합돼 탄생했다.
해당 서비스는 이용객이 가장 많은 2호선부터 시작되며, SK텔레콤은 현재 서울교통공사와 적용 노선 확대를 논의하고 있다. 현재 TMAP 대중교통에선 기존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측 혼잡도를 제공 중이다.
실시간 혼잡도는 TMAP 앱 초기화면에서 이용하려는 지하철 역을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다. 상세화면에선 가장 여유로운 칸 2곳도 추천된다. 혼잡도는 승객 포화 상태에 따라 △초록 △노랑 △주황 △빨강 등 4단계의 색으로 안내된다.
3사는 칸별 혼잡도가 실제 운행 중인 열차 데이터를 포괄해 제공되는 만큼,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폭우나 폭설 등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실시간 정확도가 높아, 시민들의 지하철 이용 편의가 크게 향상된다는 게 SK텔레콤의 설명이다.
좌우명 : 사랑에 의해 고무되고 지식에 의해 인도되는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