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점업체·소비자 부담 불만 지속…정작 배달앱은 적자 호소
배달앱-입점업체 상생안 합의…매출 상위 업체 불만은 숙제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조현호 기자]
배달비 논쟁은 배달앱에 배달비가 처음 도입된 이후로 해를 거듭할수록 그 정도가 심해졌다. 업주들은 중개 수수료로 인한 수익 감소를, 소비자들은 배달비와 물가 상승 등을 두고 볼멘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과거 배달비가 없던 시절을 그리워하는 목소리마저 흘러나오는 상황이다. 언제부터 배달비가 도입됐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게 됐는지를 〈시사오늘〉이 되짚어봤다.
배달의민족이 쏘아올린 배달비 결제…취지는 편리함
국내 최대 배달앱 배달의민족이 배달비 메뉴를 정식으로 추가해 업주들이 자유롭게 배달비를 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 배달의민족은 업주와 소비자가 배달비 결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추가하는 식으로 모바일앱 시스템을 수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음식점 20만여 곳이 등록된 배달의 민족이 배달비 메뉴를 도입하면서 프랜차이즈 업체 등의 배달비 유료화 흐름도 가속화될 전망입니다.-2018년 6월 27일 <SBS biz> 배달의민족, 배달비 결제 메뉴 추가
배달앱에 배달비가 공식 도입된 것은 지난 2018년의 일이다. ‘배달의민족’이 배달비 메뉴를 추가하면서부터다.
당시 ‘인건비 상승’이 배달비 도입의 주된 이유로 꼽혔다. 2018년 당시 무려 16.4%의 최저임금 인상률로 인해 입점업체들의 인건비 부담이 높아졌던것.
입점업체들은 자체적으로 알바를 구해 배달을 진행하는 게 녹록지 않아졌고, 일반 알바보다 높은 시급이 책정되는 배달 알바의 특성까지 고려하면 배달앱과 배달 대행사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배달의민족은 배달비 메뉴 추가를 통해 입점업체와 소비자의 불편을 덜어줬다는 입장이다. 당시 배달비는 통상적으로 배달원을 통해 결제하는 시스템이라, 소통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혼선이 빚어질 수 있었다. 또한 음식값과 배달비를 따로 결제해야 해 소비자 불편을 야기했다. 이를 해소한 게 배달비 메뉴 추가다. 배달의민족은 소비자가 직접 결제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해 모두 편리할 수 있었단 설명이다.
누구도 웃지 못했다…배달비 제도의 명암
업주는 배달 앱 주문 음식을 배달할 때마다 배달 앱 중개수수료, 외부결제 수수료를 함께 부담한다. 배달 앱 중개수수료는 업체마다 다르지만 최대 12.5%, 외부결제 수수료는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 등 배달앱 3사가 동일하게 3%를 받는다. 배달비는 배달대행업체 기준 3,500원 정도다. 결국 업주들은 소비자에게 배달비를 따로 받지 않을 경우 최대 15.5% 수수료에 배달비 3,500원을 더한 금액을 배달할 때마다 부담해야 한다.
-2019년 2월 3일 <한국일보> 소비자도 음식점도 불만인 배달비, 누가 이익 보나
서울에서 자취를 하는 김모씨는 최근 치킨 한 마리를 배달시키려다 깜짝 놀랐다. 배달비가 4000원으로 올라서다. 프라이드치킨 한 마리(1만6000원)에 배달비를 더하니 2만원을 내야 했다. 부담을 느낀 김씨는 대신 집 근처 편의점에 가서 맥주와 안주를 사 왔다.
-2022년 7월 20일 <중앙일보> “배달비 4000원”에 뿔난 소비자들, 마트·편의점으로 떠났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원래 취지완 다르게, 입점업체와 소비자 모두의 불만을 초래했다. 입점업체는 배달앱에서 부과하는 중개 수수료로 인해 영업이익에 타격을 입었다는 주장이다. 당시 서울신용보증재단의 배달앱 분석 자료에 의하면 1만7000원짜리 치킨을 배달앱을 통해 판매할 경우 수수료와 배달 대행료 등 3500원 이상의 금액이 입점업체에 부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킨보다 단가가 저렴한 분식집이나 백반집의 경우엔 주문금액이 작아 배달비 부담이 더 컸다는 지적이다.
소비자들도 날이 갈수록 높아지는 배달비에 부담을 느끼기 시작했다. 최소 주문금액을 맞춰야 배달이 가능한 만큼, ‘높은 배달비로 비싼 음식을 먹어야 하는 상황’을 유발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소비자들은 배달이 아닌 다른 방식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스스로 음식점으로 찾아가 포장 주문을 하고 편의점 음식 등을 대안으로 삼았다. 배달앱이 소비자들의 핸드폰에서 사라진다는 얘기까지 흘러나왔다. 배달비가 배달플랫폼의 배를 불리는 수단이 됐다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플랫폼도 사정이 녹록지 않은 건 마찬가지다. 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은 2019~2021년 각각 364억원, 112억원, 767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6배나 증가(5654억→2조88억원)했지만 수익은 크게 악화된 것이다. 쿠팡이츠의 경우도 지난해 35억원가량의 적자(서비스 부문)를 냈다. 지난 5월 김범석 쿠팡 의장은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쿠팡이츠의 수익성 개선을 과제로 제시하기도 했다.
-2022년 8월 11일 <조선일보> 치솟는 배달비… 소비자·식당·앱·기사 모두 ‘울상’
하지만 배달플랫폼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코로나 당시 대인접촉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달 시장이 호황을 맞았음에도, 오히려 적자를 봤기 때문이다. 실제 코로나가 가장 기승을 부렸던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배달의민족 매출액은 4배 가까이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적자를 기록했다.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을 기록한 배경에는 ‘단건 배달’ 서비스의 등장이 자리한다. 쿠팡이츠와 배달의민족 등 배달플랫폼 간 경쟁에서 비롯됐다. 단건 배달은 한 번에 1건의 배달만을 진행해, 배달 소요시간이 적고 비교적 정확한 도착시간 예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내세웠다. 물론 단건 배달은 증가하는 고객 수요에 발맞춰 더 많은 라이더 확보를 필요로 했고, 비용 부담 증가를 불러왔다.
플랫폼 간의 경쟁 심화…상생안을 통한 문제 해결 시도
구체적인 흑자 전환 내막을 살펴보면, 지난해 단건배달 수수료 인상이 실적 개선의 주요 원인이었다는 해석도 나온다. 지난해 서비스 매출은 2조4049억원으로 전년(1조 5804억원)보다 8245억원 늘었다. 음식점주 등에게 받은 수수료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는 의미다. 배달의민족은 지난해 상반기 단건배달 서비스 ‘배민1’에 대한 프로모션을 중단하며 수수료 인상을 단행했다. 중개수수료 1000원을 정액제로 받던 방식에서 음식값의 6.8%를 수수료로 받는 정률제로 개편한 것이다.
-2023년 4월 2일 <한겨레> 수수료 올렸더니… 배달의민족 3년 만에 흑자 전환
결국 배달의민족은 단건배달로 인한 비용 부담을 수수료 인상으로 해결했다. 배달의민족은 단건 배달 서비스인 ‘배민1’ 관련 프로모션을 종료했다. 건당 1000원이었던 중개 수수료는 프로모션 종료에 따라 음식값의 6.8%로 인상됐다. 이러한 수수료 증액은 배달의민족에게 흑자를 안겼지만, 입점업체에겐 부담을 가중시켰다.
물론 배달 플랫폼 시장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무료배달’이란 용어도 새롭게 등장했다. 쿠팡이츠는 배달의민족과의 격차를 줄이고자 무료배달을 선언했고, 이에 질세라 배달의민족과 요기요도 무료배달 전쟁에 동참했다.
하지만 무늬만 무료배달이란 지적이 이어졌다. 배달플랫폼이 배달 비용을 입점업체나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식이어서 위법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입점업체에 대한 비용 전가 여부를 두고 공정위 조사까지 이뤄졌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배달의민족 등 배달 플랫폼의 배달료 부과 체계와 관련해 본격적인 조사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입점 업체에 배달 비용을 부담하게 하면서 소비자에게 ‘무료 배달’이라고 홍보했다는 이유에서다. 조사 결과에 따라 배달앱 3사(배민, 쿠팡이츠, 요기요)의 무료 배달 서비스가 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2024년 11월3일 <한국경제> [단독] '무료 배달' 표현 사라진다
정부까지 나서 상생안 마련 골몰…반쪽짜리 지적은 여전
배달플랫폼과 입점업체 간의 끝없는 잡음을 해결하기 위해 결국 정부가 나섰다. 지난 7월, 소상공인의 배달비 부담을 완화하겠다는 취지의 상생협의체가 출범했다. 주요 배달플랫폼과 소상공인 연합회, 한국외식산업 협회 등이 참석해 양쪽 모두의 목소리를 들어볼 수 있었다. 정부에서는 공정위와 기획재정부 등이 참석했다.
이렇게 출범한 상생협의체는 지난 14일 최종 상생안을 발표했다. 출범 115일 동안 12차례의 논의를 거쳐 이뤄낸 합의다. 이번 상생안의 핵심은 ‘차등 수수료’를 적용하는 것이다. 현행 9.8%인 중개 수수료를 거래엑에 따라 2.0%~7.8%로 인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현재는 중개수수료 9.8%와 배달비 1900~2900원을 일괄 적용 중인데 앞으로는 각 플랫폼과의 거래액을 기준으로 차등 수수료 및 차등 배달비를 적용하겠다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는 ▲상위 35% 업체에 중개수수료 7.8%·배달비 2400~3400원 ▲상위 35~50% 업체에 중개수수료 6.8%·배달비 2100~3100원 ▲상위 50~80% 업체에 중개수수료 6.8%·배달비 1900~2900원 ▲하위 20% 업체에 중개수수료 2.0%·배달비 1900~2900원 등이 적용될 예정이다.
-2024년 11월 16일 <뉴시스> 진통 끝에 마련된 배달앱 상생안…파기 땐 시정조치 검토한다
이 역시도 잡음은 나온다. 입점업체 사이에선 이번 최종 상생안을 놓고 벌써부터 ‘반쪽짜리’라는 날선 비판이 나온다. 일부 입점업체 진영에서 제시한 수수료 5.0% 상한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배달의민족의 경우 지난 8월 시행한 수수료 인상 전보다 오히려 수수료율이 상승했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상생안이 차등 적용된다는 점에서도 매출 상위권 업체들은 불만을 제기한다. 혜택이 미미하고, 그중에서도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은 거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아직 시행도 되지 않은 상생안에 대한 불만이 속출하는 점은 누구에게도 달가울 리 없다. 오랜 시간 협의를 거쳤음에도 플랫폼과 입점업체 사이의 큰 간극을 메우기는 여전히 부족해보인다. 언제쯤 모두가 만족한 합의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어쩌면 예전 중국집 ‘철가방 배달’로의 회귀가 유일한 상생안 일지도 모른다.
좌우명 : 좋아하는 것을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