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고배당 정책 개선 목소리 ´고개´
스크롤 이동 상태바
은행권 고배당 정책 개선 목소리 ´고개´
  • 문혜원 기자
  • 승인 2018.04.11 19: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배당성과에만 집착하지 말고 효율적 사회투자 방법 찾아야˝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문혜원 기자)

▲ 최근 4대 금융지주의 배당률이 높은 것과 관련, 좋게만 볼 수 없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시사오늘

최근 시중 금융지주들의 배당성향이 다른 업계에 비해 높은 것을 두고 좋게만 볼 수 없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금융지주의 배당률은 타 업계에 비해 10%가량 높다. 이처럼 배당률이 높아지고 있는데 반해 사회공헌 투자비용은 감소하고 있다. 매년 고배당 정책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B금융지주의 배당과 배당성향은 7667억 원(23.2%), 신한금융지주는 6875억 원(23.57%)으로 집계됐다. 이어 KEB하나금융지주는 4588억 원(22.53%). 우리은행은 4039억 원(26.71%) 순이었다. 삼성전자의 배당성향 14%나 LG전자의 배당성향 4.2%와 비교하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배당정책이란 기업의 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어느 정도를 떼어내 주는 방식을 일컫는다. 기업은 이를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투자자들에게 분배할 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배당이 많으면 많을수록 이익이 커지기 때문에 고배당을 선호하게 된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고배당 정책 구조에 문제를 제기한다. 금융지주사의 배당액이 곧 경영진의 실적평가로 연결되다 보니 무리한 고배당 경쟁을 낳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배당액에만 치중하다 보니 서민금융 지원이나 투자는 소홀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 국회 정무위원회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표한 ‘은행권의 사회공헌 지출액’에 따르면, 2013년 5886억 원에서 2014년 5012억 원, 2015년 4610억 원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와 관련, 이성구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 교수는 “은행들이 배당률 성과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서민금융정책 시대에 발맞춰 이익금을 앞으로 어떻게 사회투자금으로 사용할 지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김태준 동덕여자대학교 교수는 “은행의 예대마진율이 배당불리기와 주식평가로 이어지는 구조는 이제 없어져야 한다”면서 “배당액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에서 기업 가치도 높이고 서민들도 도울 수 있는 책임경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담당업무 : 은행 및 금융권 출입합니다.
좌우명 : 진실을 외면하지 말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